수질원격감시체계
수질원격감시체계 : 수질TMS(Tele-Monitoring System)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배출시설의 최종 방류구에 수질자동측정기기를 설치하여, 오염물질 배출상황을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감시함으로써 수질오염사고 예방
자료수집기(Data Logger)
수질자동측정기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집, 저장, 생성(5분자료 등)하여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자동시료채취기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사업장 수질기준 및 배출량
방류수수질기준
공공 하·폐수처리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항목별 허용 기준을 말하며, 방류수가 강이나 하천, 바다와 같은 공공수역으로 직접 배출되므로 폐수배출허용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
배출허용기준
폐수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항목별 허용기준을 말함
배출량
공공하·폐수 및 폐수배출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양을 무게로 환산한 것을 말함
수질TMS 측정항목
수질자동측정기기
사업장 등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이 수질기준에 맞는지를 확인 하기 위하여 자동연속 계측하는 장치로서, 수질TMS실 내에 부착
- 부착대상: 공공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으로 처리용량이 700㎥/일 이상인 경우, 1~3종 사업장 및 공동 방지시설 설치·운영 사업장으로 처리용량이 200㎥/일 이상인 경우 측정기기 설치 의무화
- 부착항목: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또는 총유기탄수소(TOC),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수소이온농도(pH)
화학적산소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시료에 투입하는 과망간산칼륨이나 중크롬산칼륨 등 산화제가 유기물과 반응하여 소비되는 양을 측정하고 산소 소모량으로 환원하여 화학적산소요구량 계산
총유기탄소량(TOC: Total Organic Carbon)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물 속에 있는 유기화합물 상태의 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켜 이산화탄소를 측정하여 탄소 총량으로 총 유기탄소량 계산
부유물질량(SS: Suspended Solid)
수중에 부유하는 물질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일컫는 말로 부유물질이 많을 경우 하천 등 자연수역에 방류되면 물의 탁도를 높이고 외관을 오염시킴
총질소(T-N: Total Nitrogen)
유기성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 등 수중에 포함된 모든 질소(N) 화합물의 총량을 말하며 인과 함께 호수나 연안에서 부영양화에 대한 지표로 사용
총인(T-P: Total Phosphorous)
입자성 인, 유기성 인, 폴리인산염, 인산염이온 등 수중에 존재하는 인(P)의 총량을 말하며 호소, 하천 등의 부영양화의 지표로 사용
수소이온농도(pH: potential of hydrogen)
물의 산성,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수소이온농도는 용액 1L속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의 몰수를 의미하며 용액의 산성,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냄